리눅스의 자주 사용하는 apt 명령어, apt-get과의 차이
·
임베디드/리눅스
node.js에서 npm, nvm, npx 등의 명령어를 통해 node 모듈을 설치하거나 버전을 관리하는 것처럼 리눅스의 패키지도 apt 명령어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는 패키지 설치, 수정,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는 Winget, Chocolatey 등이 있고 파이썬은 pip를 사용하며 데비안 계열 리눅스는 apt를 사용한다. apt 기본 구조 apt 옵션 apt와 apt-get의 차이 apt 기본 구조 apt 뒤에 명령어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경우 앞에 sudo를 붙인다. apt ~~~ sudo apt ~~~ sudo apt update : 다운로드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한다. 분명 존재하는 패키지인데 다운로드가 안될..
RTSP - vlc 미디어 재생기를 통한 스트리밍 서버
·
임베디드/젯슨
웹캠의 영상을 웹캠이 연결된 컴퓨터의 웹페이지에 단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활용하여 표시하는것은 매우 간단하다. 하지만 로컬 네트워크 내부에서 웹캠의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만 사용하더라도 별개의 세팅이 필요하다.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는 HTTP 처럼 네트워크 프로토콜이지만 비디오, 오디오의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에 특화되어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Jetson Nano에 연결된 웹캠과 RTSP 설정 설정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Jetson Nano는 ARM Cortex-A57을 사용한다. 이는 ARMv8-a 이다. 따라서 apt, npm, nvm 등을 사용할때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때 armv8 혹은 arm64, aarch64 같은 명칭을 잘 확인하고 사용해야 한다. ..
WSL에서 인식되지 않는 웹캠 - usbipd
·
임베디드/리눅스
wsl에서는 웸캠을 연결하는것만으로 바로 인식이 되지는 않는다. usbipd-win 프로젝트를 설치해야한다. 현재 윈도우OS 버전과 wsl 버전을 확인하여 설치가 가능한지 확인한다.  powershell에서 wsl -l -v 명령어를 이용해 WSL 2 버전인지 확인한다. wsl ubuntu에서 uname -a를 이용해 리눅스 커널 버전을 확인한다.
wsl 설치 에러 (0x80370114) - 가상머신플랫폼 활성화
·
임베디드/리눅스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는 Windows의 Hypervisor를 기반으로 리눅스 커널을 통째로 올려 리눅스 개발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Hypervisor를 기반으로 한 가상머신플랫폼 기능 위에서 동작하므로 Windows 기능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해야 정상설치가 가능하다. Hyper-V와 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은 활성화하지 않아도 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제공되는 Ubuntu 앱과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앱을 설치하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wsl 설치와 관련된 간단한 명령어 wsl --set-default-version 2 : wsl2 버전을 설치하도록 설정 wsl --install ubuntu : wsl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