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정수론 - 오일러 피
·
컴퓨터 과학/알고리즘 • 수학
백준 11689번 문제인 GCD(n, k) = 1 문제는 정확히 오일러 피를 묻는 문제이다. 오일러 피 공식만 코드로 구현하면 끝나는데 난이도가 골드1로 꽤 높은 편이다. 주어지는 수의 범위가 10의 12승으로 매우 커서 오일러 피의 원리를 모르고 단순히 탐색으로 문제를 풀면 시간초과가 발생하기때문에 그런것 같다. 1. 오일러 피 함수란?오일러 피 함수란 자연수 n에 대해 n과 서로소(공약수가 1뿐인 수)인 n이하의 자연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ex) n=12 일때n 이하의 자연수중 n과 서로소인 수 : 1, 5, 7, 1112에 대한 오일러 피 함수 결과 = 4 2. 오일러 피 함수의 원리와 사용법먼저 오일러 피 함수를 구현한 코드를 보면 아래와 같다.function eulerPhi(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