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ition 사용하기

2024. 4. 13. 18:57·웹/HTML, CSS

웹페이지를 보다 동적으로 만들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transition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1. transition에는 property, duration, function, delay 속성이 있다. 각각 애니메이션을 적용시킬속성, 애니메이션 시간, 애니메이션 종류, 애니메이션 실행 전 딜레이를 의미한다.
  2. transition은 해당 요소의 모양이 변하기 전 css에 적용해야한다. hover 속성 등으로 바뀐 모양은 따로 지정한 뒤 원래의 css속성에 transition 옵션을 적용한다.

 

 

transition 형식 (기본)

div {
    transition-property : height;
    transition-duration : 0.5s;
    transition-delay : 1s;
    transition-timing-function : ease;
}

 

transition 형식 (단축속성)

div {
    /* 순서 : property duration timing-function delay */
    transition : height 0.5s ease 1s;
}
a {
    /* height와 width에 duration을 따로 지정 */
    transition : height 0.5s, width 1s ease 1s;
}

 

'웹 >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의 position 속성  (0) 2024.05.03
CSS의 Box Model, Margin과 Padding의 차이  (1) 2024.05.02
웹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원리  (0) 2024.04.23
(CSS) height와 width값이 auto일때 transition 사용하기  (0) 2024.01.25
Expo 설치  (0) 2022.07.10
'웹/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S의 Box Model, Margin과 Padding의 차이
  • 웹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원리
  • (CSS) height와 width값이 auto일때 transition 사용하기
  • Expo 설치
루트노트
루트노트
  • 루트노트
    루트노트
    루트노트
  • 글쓰기 관리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5)
      • 웹 (47)
        • HTML, CSS (11)
        • JS (11)
        • Node.js (3)
        • React (10)
        • Next.js (9)
        • MongoDB (1)
        • Design (2)
      • 애플리케이션 (5)
        • Swift (4)
        • React Native (1)
      • AI (0)
        • 컴퓨터 비전 (영상처리) (0)
      • 임베디드 (4)
        • 아두이노 (0)
        • 라즈베리파이 (0)
        • 젯슨 (1)
        • 리눅스 (3)
      • 컴퓨터 과학 (18)
        • 자료구조 (0)
        • 알고리즘 • 수학 (3)
        • 백준 문제풀이 (4)
        •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9)
        • 기타 (2)
      • 개인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최근 글

  • 인기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루트노트
transition 사용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